역할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현대시대에서 공동체란 뭘까? (철학에서 힌트 얻기) 공동체가 뭘까?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사회적 재생 등을 공부하다가 문득 마을공동체, 지역공동체, 커뮤니티의 본질이 무엇일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그래서 공동체와 관련된 철학서적 몇 개를 살펴봤다. 공동체에 대한 철학적 접근은 생각보다 다양했고, 최근에는 생각해보지도 않았던 관점이 제시되고 있었다. 찾아보고 이해한 내용을 최대한 쉽게 차근차근 정리해 보았다. ------------------------------------- 공동체에 대한 철학적 사유는 크게 4번의 변동이 있었다. 첫 번째 변혁점은, 공동체의 특성이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는 사유이다. 1912년 독일의 사회학자 페르디난트 퇴니스가 공동사회(게마인샤프트)와 이익사회(게젤샤프트)의 개념을 주창하면서 본격적으로 공동체에 대한 논의.. 다시 틔움_도시재생 코디네이터의 역할_두가지 차원 1. 2018년 1.2. 도시재생 활동가의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1.2.1. 도시재생 및 코디네이터의 역할은 두가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지난 5년여 동안 도시재생 코디네이터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때로는 주민공동체 활동가로, 때로는 도시계획가로, 때로는 거버넌스 전문가로, 때로는 사업 추진 주체로 한마디로 정의하기 힘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한때 도시재생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좀 더 잘 이해하고자 "도시재생 활동가의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했었다. 이 연구의 시작은 도시재생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두가지 차원으로 구분하는 것에서 시작했다. 외부로부터 요구받는 역할과 내부적으로 추구하는 역할이다. 사업수행을 위해 요구받는 역할과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추구하는 역할이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