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도시재생/도시재생 연구

(3)
도시재생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연구 ② 210개의 노드(의미) 중 183개 노드가 얽혀 있다고 지난 글에서 밝혔다.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은 서로 개념적으로 얽혀 있다는 뜻인데, 이걸 자세히 들여다보면 주민참여를 어떻게 촉진해야 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어떤 노드(의미)가 전체 연결망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볼 것이고, 두 번째는 참여와 심리적 요인이 어떤 흐름으로 연결되는지 분석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복잡한 연결망을 단순화시켜 전체적인 구조를 한눈에 보면서 구조를 해석해 볼 것이다. 오늘은 그 첫 번째, 각 노드의 중요도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연결망을 분석해보면 중요한 노드를 6개 정도를 발견할 수 있다. - 이웃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음 - 이웃을 신뢰함 - 이..
도시재생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연구 ① 도시재생사업은 결국 행정이 추진하는 사업이다. 그 안에 시민사회적, 바텀업적인 요소가 혼합되어 있긴 하지만 예산과 프로세스에 대한 권한이 행정에게 있다. 그렇기 때문에 행정의 사업에 어떻게 주민을 '참여'시킬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어떤 사람이 참여하고, 어떤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참여하는가?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는 사람들을 어떻게, 어떤생각을 가지게끔 해야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의 초석이 된다. 그리고 이 고민에서부터 지속가능한 주민주도 마을관리의 힌트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도시재생 '사업'과 마을만들기 '사업'에는 주민들의 어떤 특성과 어떤 생각들이 사업에 참여하게끔 만드는걸까? 1999년 지방자치제도가 개편되면서 주민참여는 폭발적인 관심을 받게된다. 이에 ..
[논문으로 배우는 도시재생] ① 참여하지 않는 주민들은 왜 참여하지 않을까? 우리는 보통 참여의 이유에 관심을 기울인다. 도시재생에 참여하고 있는 주민들이 왜 도시재생에 참여하는지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참여하지 않는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전략을 수립한다. 우리는 ‘참여의 이유’라는 렌즈로 ‘참여하지 않는 주민’을 바라보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잘못된 접근이다. ‘참여하지 않는 주민’은 ‘참여하지 않는 이유’라는 렌즈로 바라보고 이해해야 한다. 오늘 리뷰할 논문은 참여하지 않는 주민은 왜 참여하지 않는지에 대해 분석한 논문이다. 너무 당연해 보이지만 우리가 그간 놓치고 있진 않았는지 돌아볼 만한 부분이다. 2021.09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수록 논문 ​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주민 비참여에 관한 연구” ​ 김지영, 정문기 성균관대 국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