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도시재생/다시틔움

(3)
다시틔움_지역사회 운동의 흐름 Chapter.1 [이전 글 링크] ------------------------------ 1.2.1. 도시재생 및 코디네이터의 역할은 두가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https://hochiriranalysis.tistory.com/44 ------------------------------------------------- 1. 2018년 1.2. 도시재생 활동가의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1.2.2. 지역사회 운동의 흐름 지역사회 운동의 원형을 무엇으로 보느냐는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하지만, 이 글에서는 광복 후 도시가 빠르게 성장하던 1960년대 빈민운동을 시발점으로 보고자 한다. 1960년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기회를 찾고자 이촌향도하여 도시에 자리잡던 시기이다. 그러나 국가의 도시개발 역량은 많은 사람들을 수..
다시 틔움_도시재생 코디네이터의 역할_두가지 차원 1. 2018년 1.2. 도시재생 활동가의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1.2.1. 도시재생 및 코디네이터의 역할은 두가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지난 5년여 동안 도시재생 코디네이터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때로는 주민공동체 활동가로, 때로는 도시계획가로, 때로는 거버넌스 전문가로, 때로는 사업 추진 주체로 한마디로 정의하기 힘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한때 도시재생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좀 더 잘 이해하고자 "도시재생 활동가의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했었다. 이 연구의 시작은 도시재생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두가지 차원으로 구분하는 것에서 시작했다. 외부로부터 요구받는 역할과 내부적으로 추구하는 역할이다. 사업수행을 위해 요구받는 역할과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추구하는 역할이다...
다시 틔움_공동체규약 의견수렴 용역_공동체 활성화란? 2018년도 추진했던 공동체규약 마련을 위한 기초조사 및 주민의견 수렴 용역을 다시 생각하면서 지금 시대에 맞는 공동체 활성화 전략은 무엇일까 고민해보았다. 공동체 규약이란 다른 생각과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불편을 주지 않으며 살아가기 위한 생활규범을 말한다. 당시 과업을 추진할때 정의했던 공동체 규약이다. 다양한 가치관과 사고방식,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 살아가는 도시라는 공간에서 사람간의 갈등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 갈등에 관한 내용을 사전에 공론화하고 예방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공동체 규약'이라는 아이디어가 있었고, 공동체 규약이 필요한 내용을 찾아내고 지역에 공론화시킬 수 있는 일들을 했다. 그러나 실제로 실현되지는 못했다. 과업을 진행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 설득하고, 규약을 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