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GIS

QGIS 공부하기 : 건축물 노후도 표현하기/대상지 현황분석

SMALL

0. 기본정보

- 우리나라의 많은 공간정보 데이터는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다운받을 수 있음

- 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에서는 다양한 shp파일 등을 찾아볼 수 있음

- 회원가입을 해야 다운받을 수 있으니 회원가입을 권장함

-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축물 노후도 표현하기 실습을 위해 "건축물통합정보_마스터" 데이터를 다운받아보자

- 그리고 노후도 표현하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함

 

http://www.nsdi.go.kr/lxportal/?menuno=2679

 

국가공간정보포털

국가는 다양한 방법으로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산재된 서비스 체계로 인해 공간정보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국가·공공·민간에서 생산한 공간정보를

www.nsdi.go.kr

 

 

 

 

1. 좌표계 맞추기

- 데이터를 받고 QGIS에서 열었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작업은 좌표계를 맞추는 일임

- 데이터의 좌표계는 레이어 속성창(레이어 오른쪽 클릭해서 속성 선택)에서 조정할 수 있음

- 속성창 왼쪽 탭에서 원본을 클릭하면 지정된 좌표계(CRS를 확인할 수 있음)

- 드롭박스 메뉴의 오른쪽 끝을 보면 지구 모양의 버튼이 있음. 클릭

- 해당 창에서 좌표계를 선택할 수 있음

  (근데 뭘 선택해야 하지? 포스팅을 조금만 더 읽어보자)

- 해당 데이터의 좌표계는 국가공간정보포털 다운받은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음

- 스크롤을 조금만 내려보면 추가 정보가 있는데 여기서 데이터 좌표계가 "Bessel 보정된 중부원점 (TM)"이라고 나와있음

  (그런데 사실 완전 전문가가 아니면 이게 뭔가 싶음. 좌표계 속성 창에 검색해도 나오지 않음)

 

- Bessel 보정된 중부원점(TM)을 구글링 하여 알아내는 방법도 있지만 조금 더 쉬운 방법이 있음

- 국가공간정보포털 데이터를 다운받았던 페이지에서 쭉 내려가 보면 데이터 문의라는 칸이 있음

- 여기에서 좌표계 관련 질문을 클릭해보면 상세하게 알려주고 있음

- 해당 shp파일은 EPSG:5174 좌표계를 쓰라고 함

- 다시 QGIS로 돌아가서 좌표계 선택창에서 5174를 검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좌표계가 하나 나옴

- 이 좌표계를 쓰면 됨

 

 

 

 

2. 필요한 객체만 선택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건축물 데이터를 다운받게 되면 광역시도 기준으로 파일이 구분되어 있음

- 서울을 다운받으면 서울시 전역의 건축물 데이터가 QGIS 화면상에 나타나게 됨

- 이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데이터양이 많아 컴퓨터가 버벅거리게 됨 (아주 좋은 컴퓨터는 아닐 수도...)

- 따라서,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따로 구분해줄 필요가 있음

  (1) 필요한 부분의 건축물만 따로 선택 (여기에서는 편의상 사각형으로 선택하도록 하겠음)

 

(2) 왼쪽 레이어 창에서 레이어에 오른쪽 클릭을 하여 Export > Saver Feature As... 선택

(3) 새로운 창이 열리면 파일 이름 오른쪽에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할 장소 선택

(4) 인코딩 탭에 선택한 객체만 저장 체크박스 체크 (이거 안 하면 선택여부와 관련없이 서울시 전체가 전부 저장됨)

(5) 맨 아래쪽 저장된 파일을 지도에 추가 체크박스가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 (이거 안하면 저장만 되고 맵에는 안 나옴)

 

 

3. 건축물 승인 연도 확인하기

- 우선 데이터를 확인해보자

- 데이터속성창 (레이어 오른쪽 클릭 > 속성 테이블 열기)을 열어보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음

- 근데 열 제목이 코드로 되어 있어서 뭔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음

- 이때 참고해야 할 파일이 바로 테이블 정의서! (국가공간정보포털 페이지로 돌아가서 다시 다운받자)

 

- 테이블 정의서를 살펴보면 승인일자의 칼럼 ID가 USEAPR_DAY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다시 QGIS로 돌아가서 속성테이블 창을 확인하자

- USEAPR_DAY를 찾아서 확인해보면 20211222와 같이 연, 월, 일이 모두 포함되어 있음

- 그러나 우리가 관심 있는 데이터는 몇 년도에 승인이 났는지에 대한 자료임

- 저 데이터에서 연도만 따로 빼보자

  (1) 속성테이블 창 위쪽을 보면 여러 아이콘이 있는데 오른쪽에서 네 번째 필드계산기 열기를 클릭

  (2) 새로운 필드 생성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3) 표현식에다가 left( "USEAPR_DAY" , 4) 를 입력 (표현식 쓰는 건 엑셀과 크게 다르지 않음)

  (4) USEAPR_DAY 칼럼에서 각 데이터의 왼쪽 4개의 숫자만 추출하라는 뜻임

      (표현식을 2021 - left("USEAPR_DAY", 4)로 입력하면 승인한 지 몇 년 됐는지 추출할 수 있음)

  (5) 확인을 누르면 자동으로 편집 모드로 전환되고 새로운 칼럼이 하나 생겼을 것임 (편집 모드는 저장 후 종료해주자)

 

 

4. 건축물 승인 연도 표현하기

-  여기까지 왔다면 거의 다했다 힘 내보자

레이어 속성창 (레이어 오른쪽 클릭 > 속성)을 켜보자

-  왼쪽 탭에서 심볼을 클릭하고

-  위쪽 단일심볼을 단계구분으로 바꿔 주고

-  값을 우리가 새로 생성한 컬럼명을 선택해주자

-  아래쪽에서 분류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값이 분류되고 분류된 값 별 색상에 정해짐

-  분류된 값을 수정하고 싶으면 값을 더블클릭하며 아래와 같이 수정할 수 있는 별도의 창이 열림

- 원하는 대로 값과 색상을 수정하고 확인을 누르면 건축물 연도별 색상이 맵에 표현됨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