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공동체 (4) 썸네일형 리스트형 블록체인과 현대도시의 지역공동체 뭔 바람이 불어 블록체인을 몇 일째 들여다보고 있다. 미래를 바꿀 혁신적 기술이라고 한다. 그런데 보다가 보니 도시공동체랑 뭔가 통하는게 있는데 싶었다. 블록체인에서 가장 강조되는 키워드는 탈중앙화와 보안이다. 예를들어 경제적 거래 상황에서 기존에는 은행이 모든 장부를 관리(보통 공적으로 인정된 화폐라는 수단을 활용해서)해 왔다. 1번 화폐가 세상을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며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1번 화폐의 가치는 은행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니, 사람들이 1번 화폐를 믿고 거래에 사용하는 것이다. 1번 화폐를 은행에 가져가면 내 자산으로 인정해준다. 그런데 블록체인 방식에서는 장부를 은행이 아닌 각 개인이 보관한다. 그리고 기술적으로 그 장부의 무결성을 검증해주는 것이 블록체인 기술이다. 은행이 .. 마을호텔 고한읍 18번가와 도시재생에 대한 단상 '마을호텔'은 효과적인 도시재생 모델의 하나로 설명되어지는데, 우리가 흔히 아는 호텔을 마을 전체로 흩뿌려놓은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마을 전체가 호텔이 되는 것이다. 마을호텔18번가에서 숙박을 하고 지역 맛집에서 식사를 해결하고, 미술관, 카페, 방탈출게임, 세탁소 등의 퍼실리티를 마을 안에서 해결한다. 마을호텔이 주목받는 이유는 도시재생의 효과가 조금이라도 더 지역사회 전반으로 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마을호텔 18번가에는 14개의 회원사가 있는데, 숙박영수증을 가지고 가면 할인을 받을 수 있다.(하이원 리조트 시설도 40%나 할인받을 수 있다. 스키장 그 하이원이 맞다.) 그리고 숙박기간동안 지역주민에게 야생화 빛공예 수업도 받을 수 있다. 마을호텔에 대한 호응도 꽤 괜찮아서 2호점, 3호점을 .. 도시재생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연구 ② 210개의 노드(의미) 중 183개 노드가 얽혀 있다고 지난 글에서 밝혔다.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은 서로 개념적으로 얽혀 있다는 뜻인데, 이걸 자세히 들여다보면 주민참여를 어떻게 촉진해야 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어떤 노드(의미)가 전체 연결망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볼 것이고, 두 번째는 참여와 심리적 요인이 어떤 흐름으로 연결되는지 분석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복잡한 연결망을 단순화시켜 전체적인 구조를 한눈에 보면서 구조를 해석해 볼 것이다. 오늘은 그 첫 번째, 각 노드의 중요도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연결망을 분석해보면 중요한 노드를 6개 정도를 발견할 수 있다. - 이웃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음 - 이웃을 신뢰함 - 이.. 도시재생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연구 ① 도시재생사업은 결국 행정이 추진하는 사업이다. 그 안에 시민사회적, 바텀업적인 요소가 혼합되어 있긴 하지만 예산과 프로세스에 대한 권한이 행정에게 있다. 그렇기 때문에 행정의 사업에 어떻게 주민을 '참여'시킬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어떤 사람이 참여하고, 어떤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참여하는가?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는 사람들을 어떻게, 어떤생각을 가지게끔 해야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의 초석이 된다. 그리고 이 고민에서부터 지속가능한 주민주도 마을관리의 힌트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도시재생 '사업'과 마을만들기 '사업'에는 주민들의 어떤 특성과 어떤 생각들이 사업에 참여하게끔 만드는걸까? 1999년 지방자치제도가 개편되면서 주민참여는 폭발적인 관심을 받게된다. 이에 .. 이전 1 다음